이 글에서는 최근 대법원 판결을 통해 2인 베트먄 토토 관계 종료 후 발생한 분쟁 사례를 쉽게 풀어 설명하고자 한다. 이 사건은 베트먄 토토 탈퇴와 해산의 차이, 어떤 청구를 해야 하는지, 소멸시효는 언제부터 계산되는지, 소송 절차는 어떻게 되는지 등 다양한 쟁점을 담고 있어, 2인 베트먄 토토 관계를 정리하고자 하는 분들께 유용한 정보가 될 것이다.
|
2009년 원고와 C는 피고를 상대로 “베트먄 토토이 해산됐으니 남은 재산을 나눠달라”고 소송을 제기했으나, 법원은 “아직 청산 절차가 끝나지 않았다”며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러던 중 2021년 C가 사망하면서 베트먄 토토은 원고와 피고, 두 명으로 구성된 2인 베트먄 토토이 됐다.
베트먄 토토 탈퇴는 베트먄 토토원 한 명이 베트먄 토토에서 나가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베트먄 토토 자체는 남은 베트먄 토토원에 의해 동일성을 유지하며 존속한다. 2인 베트먄 토토에서는 한 명이 탈퇴하는 경우,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베트먄 토토이 해산되거나 별도의 청산 절차를 밟지 않는다.
탈퇴한 베트먄 토토원은 민법 제719조에 따라 탈퇴 당시 베트먄 토토 재산 상태를 기준으로, 자신이 낸 몫(지분)에 해당하는 돈을 돌려받을 수 있다(지분 반환 청구). 이는 베트먄 토토 해산에 따른 잔여재산 분배 청구와는 다른 개념이다. 베트먄 토토원들에게 분배할 잔여재산과 그 가액은 청산절차가 종료된 때에 확정되므로, 베트먄 토토원들 사이에 별도의 약정이 없는 이상 청산절차가 종료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잔여재산의 분배를 청구할 수는 없다.
2인 베트먄 토토에서 한 베트먄 토토원이 탈퇴하면 베트먄 토토 관계는 끝나지만, 베트먄 토토 자체가 해산되거나 청산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베트먄 토토 재산은 남은 베트먄 토토원 한 명의 소유가 된다. 이때 탈퇴한 베트먄 토토원은 남은 베트먄 토토원에게 자신의 지분에 해당하는 돈을 달라고 청구할 수 있다(지분반환청구권).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데도 오랫동안 행사하지 않으면 그 권리가 없어지는 제도를 소멸시효라고 한다.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의 소멸시효는 10년이다. 이 사건에서 소멸시효 기산점은 피고가 원고로부터 땅 매수 자금을 받은 때부터다. 원고는 이로부터 10년이 지나 소송을 제기했기 때문에,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은 이미 소멸시효가 완성돼 청구할 수 없게 된 것이다.
원심은 원고의 청구를 ‘베트먄 토토 해산에 따른 남은 재산 분배 청구’로 보고, “청산 절차가 끝나지 않았다”는 이유로 기각했다.
2인 베트먄 토토은 사업 운영은 쉽지만, 갈등이 생기면 법적으로 매우 복잡해질 수 있다. 따라서 동업 계약 체결 시 신중하게 검토하고, 문제가 발생하면 반드시 법률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현명하다.
이 판결은 2인 베트먄 토토 관계 종료 시 발생하는 법률 관계를 명확히 하고, 소송 절차의 중요성을 강조함으로써, 향후 유사한 분쟁을 해결하는 데 중요한 기준이 될 것이다.
■하희봉 변호사△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학과 △충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제4회 변호사시험 △특허청 특허심판원 국선대리인 △(현)대법원·서울중앙지방법원 국선변호인 △(현)서울고등법원 국선대리인 △(현)대한변호사협회 이사 △(현)로피드 법률사무소 대표변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