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핵심 쟁점은 두 가지였다. 첫째, A씨는 토토 사이트 선출 결의 무효 판결로 소급해 토토 사이트 지위를 상실했기에, 도시정비법상 처벌 대상인 ‘조합임원’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원심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지만, 대법원 역시 총회 의결을 거쳐 조합임원으로 선임된 후 권한을 실제로 행사하는 사람은 설령 그 의결이 나중에 무효로 확정되더라도, 그 이전에 이뤄진 행위에 대해서는 도시정비법 위반죄의 주체가 된다고 판시했다.
둘째, 원심은 이사회 의사록을 ‘3분기가 끝나는 달의 다음 달 15일까지’ 공개해야 한다고 봤고, 계약서 등은 ‘작성 완료 시점’을 기준으로 열람·복사 의무를 판단했다. 그러나 대법원은 토토 사이트 제124조 제1항은 ‘작성 또는 변경 후 15일 이내’ 공개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므로, 의사록 작성일부터 15일 이내에 공개했다면 처벌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 또한, 계약서 등은 열람·복사 요청 ‘당시’ 현존해야 의무가 발생하며, 요청 이후 15일 이내에 작성된 경우에는 해당되지 않는다고 명확히 했다.
이번 판결은 도시정비법의 해석과 적용에 있어 중요한 기준을 제시했지만, 여전히 법 조항의 모호성으로 인한 혼란은 남아있다. 특히, ‘작성’의 의미, ‘관련 자료’의 범위 등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이 없어 실무상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도시정비사업은 수많은 이해관계자가 얽혀 있고, 사업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쟁은 토토 사이트원들의 재산권과 직결된다. 따라서 법 집행의 예측 가능성을 높이고 불필요한 분쟁을 예방하기 위해, 도시정비법의 관련 조항을 보다 명확하게 개정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정보공개 대상 서류의 ‘작성’ 시점을 구체화하고, ‘관련 자료’의 범위를 예시적으로 규정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토토 사이트 임원의 정보공개 의무 위반에 대한 제재 수위를 합리적으로 조정해, 법의 실효성을 확보하는 방안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이번 대법원 판결을 계기로, 도시정비법이 토토 사이트 운영의 투명성과 토토 사이트원의 권익 보호라는 본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입법적·실무적 개선 노력이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하희봉 변호사△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학과 △충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제4회 변호사시험 △(현)대법원·서울중앙지방법원 국선변호인 △(현)서울행정법원·서울고등법원 국선대리인 △(현)대한변호사협회 이사 △(현)서울지방변호사회 청년변호사특별위원 △(현)로피드 법률사무소 대표변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