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 1차 재판이 열린 14일, 서울 서초구 윤 전 대통령 사저 앞에서 만난 이모(70)씨는 혀를 끌끌 차면서 말했다. 매일 아침 출근을 위해 이곳을 지난다는 이씨는 “집회한다고 길이 막히는 것을 어떻게 하겠느냐”면서도 “너무 불편하다”고 고충을 토로했다.
|
이날 오전 서초동 사저 앞에서 만난 시민들은 이구동성으로 시위 불편을 말했다. 매일 이곳에 사는 자녀를 보러 온다는 이충임(60)씨는 “여기는 공동주택인데 (윤 전 대통령이) 조사를 받으러 다닐 때마다 지지자들이 몰릴 것이 아니겠느냐”며 “그 불편을 어떻게 하느냐”고 말했다. 직장인 김모(37)씨는 “예전에 한남동에 살 때도 집회 때문에 도로 통제가 너무 심해서 마음에 안 들었다”고 했다. 김씨는 “오늘 통제는 한남동만큼 심하지 않지만, 원래도 학원가라 길이 복잡했다”며 “평소에는 차로 이동하는데 오늘은 지하철을 탔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문제를 줄이고자 경찰은 사저 인근 집회를 제한하고 있다. 서울 서초경찰서에 따르면, 경찰은 4월 한 달간 아크로비스타 주변에 신고된 윤 전 대통령의 지지층과 진보 시민단체의 집회를 제한한다. 이들의 집회 신고장소가 윤 전 대통령의 재판이 열리는 서울중앙지법으로부터 100m 안팎이고, 판결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경찰은 향후 사저 주변에 신고되는 집회에도 제한 통고를 내릴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예정된 재판시간이 다가올수록 법원 일대에는 집회 신고가 불필요한 ‘1인 시위’를 하고 있다고 주장하는 윤 전 대통령의 지지자들이 늘었다. 내란청산·사회대개혁 비상행동(비상행동)은 이날 오전 9시부터 윤 전 대통령의 재구속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고, 윤 전 대통령의 지지자들은 확성기로 “XX는 빨리 꺼져라”라며 고성으로 욕설을 반복하거나 기자회견장에 난입하기도 했다. 경찰이 이들의 법원 진입을 막기 위해 법원 출입구를 막아섰지만, 일부 시위대와 직장인들이 뒤엉키면서 출근길 통행이 잠시 제한되기도 했다.
한편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는 이날 오전 윤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 첫 공판을 진행했다. 윤 전 대통령은 법정에 직접 출석해 검찰의 공소사실을 모두 부인했다.
|